김지연, 낡은 방
KR | EN
생의 처음이자 끝, 낡은 방

집이 없다면 인간의 존재는 산산이 흩어져 버릴 것이다. 집은 하늘의 뇌우와 삶의 뇌우를 거치면서도 인간을 붙잡아 준다. 육체이자 영혼이며 인간 존재 최초의 세계다. -가스통 바슐라르, <공간의 시학> 중에서

낡은 방은 쓸쓸해 보인다. 평생을 살아낸 삶의 이력이 이 방에 놓인 전부라고 생각하면 찬찬히 들여다봐야 할지, 서둘러 눈을 거둬들여야 할지 고민스러워진다. 그 안에서 일정한 자리도 없이, 그러나 대개는 방 한가운데 놓임으로써 의외의 존재감을 빛내는 것은 전화기다. 가느다란 선을 타고 바깥세상의 소식을 수혈하는 전화기의 존재는 이 방이 생각보다 쓸쓸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예감이 들게 한다. 물론 전화기는 주인장이 쇠락한 몸을 움직이는 속도만큼이나 더디게 울릴 것이다. 가끔씩만 울리는 전화기와 함께 방 안의 시간도 느리게 흐른다.
이 방 안에서는 달력만이 드물게 유통 기한을 지니고 있다. 어쩌면 달이 바뀌고 며칠이 지나서야 달력을 넘기며 시간이 흘렀다는 사실을 알아차릴지도 모른다. 어제와 오늘과 내일이 크게 다르지 않은 이 방에서는 정지된 사물들도 오랜 시간의 목격자로서 생명력을 지닌다. 생에서 도망쳐 나가는 머리카락을 가두어 두기에는 너무 무기력해 보이는 성긴 빗, 검버섯이 피기 전의 얼굴을 소환해 내기라도 할 것처럼 의외로 선연한 거울, 생의 비밀을 감추듯 옷가지를 가지런히 씌운 얼룩진 수건... 결국 방 안의 모든 사물은 위로 아래로, 구겨진 구석으로 시선을 끌어당기며 이 공간에 압축된 세월과 추억을 느리게 토해 낸다. 그 기억은 생의 특별한 날에 덧붙였을 벽지만큼이나 여러 겹으로 포개져 있다.

낡은 방은 조금 쓸쓸해 보일 수 있으나 궁핍해 보이지는 않는다. 이 방의 주인장이 평생토록 일궈 낸 찬란한 유산 덕분이다. 그 유산은 벽에 걸린 사진 속에서 빛을 발한다. 이 방에서 태어난 자식들이 학교를 졸업하고 혼례를 올리고, 다시 자식을 낳아 돌잔치를 하고 유치원에 보내는 한 가족의 위대한 역사가 사진 속에 있다. 이들 사진이 버티고 있는 한 낡은 방은 지상에서 가장 화려한 보금자리다. 텃밭에서 자라는 푸성귀보다 더 풍성한 얘깃거리를 전하는 사진 속 주인공들은 가끔씩 공연한 죄책감에 전화기를 울리고, 외풍 많은 방 안에다 유행처럼 전기 장판을 들여다 놓고 간다. 그들이 찾아오지 않는 날이 더 많은 방 안에서는 오직 플라스틱 카네이션만이 시들지 않은 채 긴 기다림을 버텨 낸다. 어느 해인가 반갑게 찾아온 카네이션은 이곳의 생이 실패하지 않았음을 증거한다. 설령 관계가 소원해져 이제 더 이상 카네이션이 배달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이 붉은 꽃은 따뜻했던 그 시절로 모든 기억을 붙잡아 둠으로써 현실의 상처마저 치유해 준다.

인문학자 김우창은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을 빌려 와, 시간과 공간이 사람의 삶과 우주 만물의 존재에서 기본 축을 이룬다고 말한다. 따지고 보면 평생토록 흘러가는 시간 속에서 사람들이 행한 모든 일은 집과 동네, 고향 같은 공간을 얻고 지키기 위한 노력이었다. 이토록 공간에 집착하는 이유는 그곳이 단순히 머무는 장소가 아니라 존재의 산실이기 때문이다. 그 장소에서 비로소 생이 시작되었다. 바슐라르가 “집의 내밀한 삶이 우주의 드라마와 연결되어 있다”고 한 것도 집이라는 공간의 이러한 의미와 맞닿아 있을 것이다.
공간이 시간의 덧없음을 붙들어 두는 닻이라 해도 도시에서는 이제 모두가 떠돌이다. 시간에 쫓기다 보면 공간이 있어도 머무르지 못한 채 유목민처럼 스쳐 지나갈 뿐이다. 도시의 공간이 낡은 방보다 화려하지만 존재감이 가벼워지는 이유다. 그래서 낡은 방을 거쳐 간 도시의 부유하는 생에게 이 방은 영원한 그리움으로 남는다. 시집온 뒤 한번도 낡은 방을 떠나 본 적 없는 노모는 정작 아무런 미련이 없는데, 운명처럼 그 방을 떠난 아들의 마음은 까닭 모를 그리움에 젖는 것이야말로 생이 우리에게 가르치는 부조리다. 낡은 방은 소유와 관계라는 생의 거추장스러운 무게를 내려놓게 한다. 그곳은 우리가 태어난, 그리고 언젠가는 돌아갈 존재의 자궁이다. 김지연은 그렇게 우리를 낡은 방으로 불러들인다.
Jiyeon Kim, Rooms that Aged with Time
KR | EN
The Beginning and End of Life – Rooms that Aged with Time

In the life of a man, the house thrusts aside contingencies, its councils of continuity are unceasing. Without it, man would be a dispersed being. It maintains him through the storms of the heavens and through those of life. It is body and soul. It is the human being's first world.

- Quoted from “The Poetics of Space” by Gaston Bachelard


As a room aged with time, it looks forlorn. If it occurs to me that this room can tell every story of life, then I start asking myself whether I should stop by and take a closer look or walk away from it. It is mostly the telephone that unexpectedly shines through at the center, with no particular space to be designated. It makes me feel that the room may not be as forlorn as I think, connecting with outside world by having news delivered through its thin cord. Clearly, the telephone rings at a slow pace – the pace similar to its owner who is withering with age. With the telephone that rings every once in a few while, the time flies tediously.

The calendar is one of the few items that are past its expiration date. It is likely that the owner flips the calendar page only after several days passed for the new month, and realizes that the time flies.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from yesterday to today, and from today to tomorrow in the room, but every item in the space is indeed viable as a witness of many years of history behind the owner. A sparse toothed comb that look too helpless to behold strands of hair running away from life; unexpectedly clear mirror that is ready to bring faces laced with age spots any time; and stained towel over clothes, as if to cover up personal secrets from life – all of the items including these, after all, slowly yet steadily tells stories and memories behind the room that have built up with time, taking eyes from top to bottom and from one corner to another. The memories have been layered, just like the wallpapers in the room that were pastered on special days in life.

Astonishingly, the rooms that aged with time may have some forlorn look but not a hint of poverty. This is thanks to brilliant legacy that the owners have built throughout their lives. The legacy shines, in particular, through the photos hanging on the walls – these photos quietly tell stories behind their families – birth, graduation days, wedding ceremonies, first birthdays of their grand children and these grand children growing up to start their kindergartens. As long as these photos stay around, these rooms will remain to be the most luxurious home to dwell in. The subjects of the photos are ready to tell stories that are richer than greens that grow in the vegetable garden in the backyards. And from time to time, they make phone calls out of groundless guiltiness and drop by to somewhat unanimously lay electronic blanket on the coldest parts of the room. The rooms, however, are rarely visited by the subjects of the photos, and it is the plastic carnation bouquets delivered for Parents Day gift that are not withering to carry on throughout many days of waiting. These carnations were welcomed in one day and silently hint that lives in these rooms are not failure at all. Even though relationship became somewhat sour that carnation bouquet are not delivered any longer, these scarlet-colored flowers bring the owners of the rooms back to the days filled with warmth to lift them up and live through scars and wounds from reality.

One of the humanities scholars, Kim Woochang quoted from Heidegger’s “Being and Time” to explain that time and space make the basic pillars for all beings in human life and the universe. In a sense, all activities conducted by the owners of the rooms in their entire life have been about ceaseless efforts for building and maintaining homes and communities. They had near-obsession for their spaces because the spaces have been more than shelter – they have been cradles of all beings. Indeed, all lives have seen their beginning in these rooms. This possibly lies on the similar extent with Gaston Bachelard’s view towards the house as a sort of initial universe, stressing that “all really inhabited spaces bears the essence of the nation of home” in his book titled “The Poetics of Space”.

Even though spaces anchor transience of time, everyone in a city is, after all, are leading nomadic life. Because if one feels pressured in a fast-paced urban life, one would not be able to squeeze in a few minute to stay in a space, but pass by like a nomad. This may explain that spaces in cities tend to luxurious yet light in being, in comparison with the rooms that have aged with time. For beings that passed by these rooms in the past and buoying in the cities today, these rooms that have worn out with age remain as nostalgic spaces. The mothers who have never left their spaces since the time they married don’t express much about how they feel, but the ones who left find themselves in unknown nostalgia – this is indeed a paradox that we learn from life. These rooms make us unload weighty burden from relation between procession and relationship in life. The rooms, after all, are the wombs of all beings that have marked the beginning and would welcome for return later in life. The artist, Kim Jiyeon is inviting us to these rooms now.





월운
장성